스탠퍼드 법학대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1893년 설립된 스탠퍼드 대학교의 법학 전문 대학원이다. 1908년 로스쿨로 명칭을 변경하고, 1923년 미국 변호사 협회(ABA)의 인가를 받았다. 미국 연방 대법원의 최초 여성 대법관인 샌드라 데이 오코너와 대법원장 윌리엄 렌퀴스트를 배출했다. 7.3:1의 낮은 학생 대 교수 비율과 유연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1학년은 민사 소송법, 계약법 등을 배우고, 상급 학년은 클리닉 프로그램, 정책 연구소 등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는다. 졸업생들은 로펌, 재판연구원 등으로 진출하며, 2023년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에서 가장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탠퍼드 대학교 - 스탠퍼드 감옥 실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1971년 필립 짐바르도가 수행한 심리학 실험으로, 평범한 사람들이 역할과 상황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가상의 감옥 환경을 조성하여 교도관과 수감자 역할을 부여했으며, 상황적 요인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력 및 복종의 심리학을 보여주었지만 윤리적 문제로 비판받았다. - 스탠퍼드 대학교 -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는 1962년 설립된 미국의 국립 가속기 연구소로, 세계 최장 3.2km 선형 가속기를 통해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 업적을 배출하고 월드 와이드 웹 서버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2008년 SLAC 국립 가속기 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한 후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입자물리학, 우주물리학, 광자 과학 등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1893년 설립 - 통제영학당
통제영학당은 1893년 조선 정부가 근대 해군 장교 양성을 위해 설립한 한국 최초의 해군사관학교였으나,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일본의 압력으로 1896년 폐교되었고 현재는 터와 영국인 교관 관사만 남아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이 복원을 추진 중이다. - 1893년 설립 -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은 존스 홉킨스 병원과 함께 존스 홉킨스 의학 시스템을 이루는 미국의 명문 의과대학으로, 개교 당시 여성에게도 입학 기회를 제공했으며 "빅 4" 창립 의사들의 기여와 많은 노벨상 수상자 배출, 그리고 《U.S. News & World Report》의 최상위권 평가로 미국 의학교육의 모델로 여겨진다. - 미국의 법학전문대학원 -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UC 버클리 법학대학원은 189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과로 설립되어 법과대학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미국 최상위권 로스쿨 중 하나로서 U.S. 뉴스 & 월드 리포트 기준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다양한 법률 간행물 발간 및 연구 센터와 클리닉을 운영하며, 사회 각 분야의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 미국의 법학전문대학원 - 올버니 법학대학원
1851년에 설립된 올버니 법학대학원은 뉴욕 항소법원과 역사적 연관성을 가지며,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 연구 센터, 법률 클리닉을 운영하고 뉴욕 주 의회 및 법조 기관과의 근접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미국의 독립 법학대학원이다.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교 | 스탠퍼드 대학교 |
설립일 | 1893년 |
형태 | 사립 법학대학원 |
위치 |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
좌표 | 37°25′27″N 122°10′04″W |
학생 수 (2020년) | 572명 |
교수진 수 (2023년) | 70명 |
변호사 시험 합격률 | 98.25% |
웹사이트 | 스탠퍼드 로스쿨 |
![]() | |
순위 | |
순위 (2024년) | 1위 (공동) |
재정 | |
모교 기부금 (2021년) | 378억 달러 |
학교 운영 | |
학장 | 조지 트라이안티스 |
2. 역사
스탠퍼드 대학교는 1893년 법학 연구 과정을 처음 개설했으며, 전 미국 대통령 벤자민 해리슨과 보스턴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한 네이선 애보트를 최초의 법학 교수로 고용했다.[9] 애보트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이끌었고, 소규모 교수진을 구성했다. 초기에는 학부 전공생을 주로 등록시켰으며, 여성과 유색인종 학생들을 포함하여 당시의 전통적인 로스쿨에서 환영받지 못했을 학생들도 받아들였다.[9]
1900년, 원래 인시나 홀에 위치했던 법학과는 이너 쿼드랭글 북동쪽으로 이전하면서 더 큰 시설과 함께 스탠퍼드의 첫 번째 법률 도서관을 갖추게 되었다. 학교는 전문적인 교육에 더 중점을 두기 시작하면서, 첫 번째 3년제 커리큘럼을 시행하고 미국 법학대학 협회(AALS)의 27개 창립 멤버 중 하나가 되었다.[10] 1901년에는 첫 번째 전문 학위인 법학 학사(LL.B.)를 수여했다.[9]
1908년, 스탠퍼드 이사회는 법학과를 로스쿨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1923년에는 미국 변호사 협회(ABA)로부터 인가를 받았다.[11] 1924년, 스탠퍼드 로스쿨은 입학 요건으로 학사 학위를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현대적인 전문 학교로 전환했다.[9]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로스쿨에 큰 변화와 발전이 있었던 시기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1948년에는 새로운 건물과 기숙사가 완공되었다. 또한, ''스탠퍼드 로 리뷰''가 창간되어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1970년대에는 현재의 크라운 쿼드랭글 위치로 이전했다.[9]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전국적인 인정을 받으며 커리큘럼 혁신을 이루었고, 21세기에는 학제 간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893년 ~ 1940년대)
스탠퍼드 대학교는 1893년 법학 연구 과정을 처음 개설했으며, 당시 대학교는 최초의 법학 교수 두 명을 고용했습니다. 전 미국 대통령 벤자민 해리슨과 네이선 애보트가 그들이며, 애보트는 보스턴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했습니다.[9] 애보트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이끌었고, 다음 몇 년 동안 소규모 교수진을 구성했습니다. 당시 법학과는 주로 학부 전공생을 등록했으며, 여성과 유색인종 학생, 특히 히스패닉, 중국, 일본인 학생을 포함하여 당시의 더 전통적인 로스쿨에서 환영받지 못했을 수 있는 많은 학생들을 포함했습니다.[9]1900년, 학과는 원래 인시나 홀의 위치에서 이너 쿼드랭글 북동쪽으로 이전했습니다. 이 더 큰 시설에는 스탠퍼드의 첫 번째 법률 도서관이 포함되었습니다. 전문적인 교육에 더 중점을 두기 시작하면서, 학교는 첫 번째 3년제 커리큘럼을 시행하고 미국 법학대학 협회 (AALS)의 27개 창립 멤버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10] 1901년, 학교는 첫 번째 전문 학위인 법학 학사 (LL.B.)를 수여했습니다.[9]
1908년부터 법학과는 스탠퍼드 이사회가 법학과에서 로스쿨로 공식적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면서 전적으로 전문 학교로 전환하기 시작했습니다. 8년 후, 프레데릭 캠벨 우드워드는 로스쿨의 첫 번째 학장이 되었고, 1923년에는 로스쿨이 미국 변호사 협회 (ABA)로부터 인가를 받았습니다.[11] 1924년, 스탠퍼드의 법학 프로그램은 입학에 학사 학위를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공식적으로 현대적인 전문 학교로 전환했습니다.[9]
1940년대는 로스쿨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로스쿨의 등록 학생 수가 30명 미만으로 감소한 후, 1945년 전쟁이 끝나자 학교는 빠르게 확장되었습니다. 아우터 쿼드랭글의 새로운 위치로의 이전과, 스탠퍼드 법대 졸업생인 조지 E. 크로더스의 기증으로 1948년 로스쿨 기숙사인 크로더스 홀이 개관하면서 학교가 성장할 수 있었으며, 1948년 ''스탠퍼드 로 리뷰'' (미래의 미국 국무장관 워렌 크리스토퍼 '49가 편집) 창간은 로스쿨의 전국적인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스탠퍼드가 매우 제한된 등록 학생 수를 유지하는 소규모 로스쿨로 남아야 한다는 결정이 이 기간 동안 나왔습니다.[9]
2. 2. 발전과 변화 (1940년대 ~ 1970년대)
1940년대와 1950년대는 스탠퍼드 로스쿨에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등록 학생 수가 30명 미만으로 줄었지만, 1945년 전쟁이 끝나자 빠르게 확장되었다.[9] 1948년에는 아우터 쿼드랭글의 새로운 위치로 이전하고, 스탠퍼드 법대 졸업생 조지 E. 크로더스의 기증으로 로스쿨 기숙사인 크로더스 홀이 개관하면서 학교가 성장할 수 있었다.[9] 같은 해, 스탠퍼드 로 리뷰(미래의 미국 국무장관 워렌 크리스토퍼 '49가 편집)가 창간되어 로스쿨의 전국적인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9] 이 시기에 스탠퍼드는 매우 제한된 등록 학생 수를 유지하는 소규모 로스쿨로 남기로 결정했다.[9] 1970년대에는 역사상 세 번째로 현재의 크라운 쿼드랭글 위치로 이전했다.[9]1960년대와 1970년대에 로스쿨은 학생 구성을 다양화하는 데 힘썼다.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스탠퍼드 로스쿨 여성회, 스탠퍼드 치카노 법학 학생 협회, 환경 법률 협회, 스탠퍼드 공익 재단 등 여러 진보적인 학생 단체를 설립했다.[9] 1966년에는 스탠퍼드 경영대학원과 협력하여 첫 번째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만들었다.[9] 1965년에는 첫 흑인 학생인 샐리앤 페이턴 '68을 등록했고, 1972년에는 첫 여성 법학 교수인 바바라 밥콕과 첫 유색인 교수인 윌리엄 B. 굴드 4세를 고용했다.[9] 1968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 법원의 미래 판사인 델튼 헨더슨을 소수자 입학 담당 부학장으로 임명하여 소수자 등록 학생 수를 한 명에서 약 5분의 1로 늘렸다.[9] 스탠퍼드 로스쿨의 다양성 추구는 현재까지 이어져, ''프린스턴 리뷰''는 스탠퍼드 로스쿨을 소수자 학생을 위한 10대 로스쿨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12]
2. 3. 혁신과 현재 (1980년대 ~ 현재)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전국적인 인정을 받으면서, 로스쿨은 커리큘럼 혁신에 착수했다. 스탠퍼드는 법과 기술, 환경법, 지적 재산권법, 국제법에 중점을 둔 새로운 강좌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법률 분야를 전문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1984년에는 첫 번째 임상 프로그램인 이스트 팔로 알토 커뮤니티 법률 프로젝트를 시작했다.[9]21세기에는 학제 간 교육에 대한 새로운 초점이 나타났다. 2009년에는 스탠퍼드의 다른 대학원과 일치시키기 위해 학기제를 분기제로 전환했다.[13] 스탠퍼드는 또한 새로운 클리닉, 학술 센터, 시뮬레이션 강좌를 추가하여 국제법 분야의 상위 과정 제공을 확대하고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확장했다.[14] 1893년에 설립되었다. 전미 로스쿨 랭킹에서는 1992년 이후 25년 동안 항상 톱 3 로스쿨로 랭크되어 왔다.[55][56] 미국 연방 대법원의 최초 여성 대법관인 샌드라 데이 오코너와 미국 연방 대법원의 대법원장인 윌리엄 렌퀴스트를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3. 교육 과정 (Academics and admissions)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미국에서 학생 대 교수 비율(7.3:1)이 가장 낮은 수준이다.[1] 1학년은 약 180명으로, 각 30명씩 6개의 소규모 분반으로 나뉜다.[2]
1학년 과정은 별도 항목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급 학년 과정에서는 280개의 강좌와 더불어 복수 학위 및 학제 간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2] 학생들은 스탠퍼드 내 다른 대학원 수업을 수강할 수 있다.[2]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클리닉 프로그램과 정책 연구소를 통해 실무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한다. 클리닉 프로그램과 정책 연구소는 클리닉 프로그램과 정책 연구소 항목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학생과 졸업생들은 학업 경험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7] ''Above the Law'' 설문 조사에서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학업 프로그램, 실무/클리닉 훈련, 진로 상담, 재정 지원 상담에 대해 "A+"를 받았다.[7] ''The Princeton Review''는 "강의실 경험" 최고 학교로 스탠퍼드를 선정했으며, 학생들은 "학업 경험 등급"과 "교수 흥미 등급"에서 최고 점수(99점)를 부여했다.[8] ''The American Lawyer'' 잡지의 2014년 설문 조사에서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졸업생들이 로펌 생활을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상위 5개 로스쿨에 포함되었다.[9]
강의실 밖에서 학생들은 50개 이상의 학생 단체를 운영하고 7개의 법률 저널을 발행한다.[10] ''스탠퍼드 로 리뷰''는 ''Washington & Lee Law Review Rankings''에서 최고 로 리뷰로 선정되었다.[10] 옹호 기술은 Marion Rice Kirkwood Moot Court 경쟁에서 시험된다.[10]
로버트 크라운 법학 도서관은 50만 권의 도서, 36만 개의 마이크로폼 및 시청각 자료, 8,000개 이상의 정기 간행물을 소장하고 있다.[11]
2008년,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예일 로스쿨,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로스쿨, 하버드 로스쿨과 함께 전통적인 성적표 대신 우수, 합격, 제한적 학점, 낙제 중 하나의 성적을 부여하는 시스템으로 변경했다.[12] 우수 성적은 약 30%로 제한된다.[12] Order of the Coif 또는 Graduation with Distinction 영예는 더 이상 수여하지 않는다.[12]
매년 4,000~5,000명이 입학 지원을 하며, 합격한 학생들의 중간 학부 성적 평점 평균은 3.92이고 중간 LSAT 점수는 173점(180점 만점)이다.[13] 과외 활동, 직무 경험, 이전 대학원 연구 등도 고려된다.[13] 각 입학반의 약 4분의 3이 1년 이상의 직무 경험을, 4분의 1 이상이 다른 대학원 학위를 가지고 있다.[13] 매년 소수의 편입생도 선발한다.[13]
3. 1. 1학년 과정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1학년 학생들은 6개의 소규모 분반으로 나뉘어 수업을 듣는다.[1] 각 분반은 약 30명으로 구성된다.[2]1학년(1L)은 가을, 겨울, 봄 학기에 걸쳐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을 수강한다.[3]
3. 2. 상급 학년 과정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1학년 커리큘럼 외에 280개의 강좌를 제공하며, 고급 과정은 화이트칼라 범죄에서 최고 법원 시뮬레이션 세미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법학대학원이 캠퍼스의 다른 학술 프로그램과 가깝기 때문에 복수 학위 프로그램과 학제 간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상위 학년 학생들은 스탠퍼드의 다른 전문 대학원과 대학원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다.[2]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2, 3학년 학생들이 환경법 클리닉, 형사 변호 클리닉, 종교 자유 클리닉, 지적 재산 및 혁신 클리닉을 포함한 11개의 법률 클리닉에서 풀타임으로 일하며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방 대법원 소송 클리닉은 30건 이상의 사건을 대법원에 성공적으로 제기하여 어떤 종류의 소송보다도 가장 활발한 대법원 활동을 하고 있다.[3] 이 클리닉은 ''케네디 대 루이지애나''(2008), ''멜렌데즈-디아즈 대 매사추세츠''(2009), ''미국 대 윈저''(2013), ''라일리 대 캘리포니아''(2014), ''보크 대 베셔''(2015)를 포함한 수많은 사건에서 본안에 대해 수석 변호인 또는 공동 수석 변호인으로 활동했다.[3]
2013년에 시작된 스탠퍼드의 법률 및 정책 연구소는 추가적인 경험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정책 연구소를 통해 2, 3학년 학생들은 교수의 감독을 받는 정책 실습에 등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학생들은 소규모 팀을 이루어 실제 고객을 위해 정책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주제는 야생 동물 밀매에서 교도소 재조정, 저작권 개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이전 고객으로는 캘리포니아 법무장관 카말라 해리스, 캘리포니아 주지사 제리 브라운, 캘리포니아 법률 개정 위원회, 미국 저작권청, 미국 에너지부, 미국 재무부, 백악관 관리예산처가 있다.[4]
3. 3. 클리닉 프로그램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2, 3학년 학생들이 환경법 클리닉, 형사 변호 클리닉, 종교 자유 클리닉, 지적 재산 및 혁신 클리닉 등 11개의 법률 클리닉 중 하나에서 풀타임으로 일하며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3] 연방 대법원 소송 클리닉은 30건 이상의 사건을 대법원에 성공적으로 제기하여 어떤 종류의 소송보다도 가장 활발한 대법원 활동을 하고 있다.[3] 이 클리닉은 ''케네디 대 루이지애나''(2008), ''멜렌데즈-디아즈 대 매사추세츠''(2009), ''미국 대 윈저''(2013), ''라일리 대 캘리포니아''(2014), ''보크 대 베셔''(2015)를 포함한 수많은 사건에서 본안에 대해 수석 변호인 또는 공동 수석 변호인으로 활동했다.[3]3. 4. 정책 연구소
2013년에 시작된 스탠퍼드 법률 및 정책 연구소는 학생들에게 경험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정책 연구소를 통해 2, 3학년 학생들은 교수의 감독을 받는 정책 실습에 등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학생들은 소규모 팀을 이루어 실제 고객을 위해 정책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정책 연구 주제는 야생 동물 밀매, 교도소 재조정, 저작권 개혁 등 다양하다. 이전 정책 연구소 고객으로는 캘리포니아 법무장관 카말라 해리스, 캘리포니아 주지사 제리 브라운, 캘리포니아 법률 개정 위원회, 미국 저작권청, 미국 에너지부, 미국 재무부, 백악관 관리예산처 등이 있다.[1]4. 입학 및 변호사 시험 합격률
미국변호사협회(ABA) 필수 공시에 따르면,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2022년에 평균 94.41%의 변호사 시험 합격률을 기록했다.[31] 2023년,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졸업생의 94%가 첫 번째 시도에서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캘리포니아 법학대학원 중 가장 높은 합격률을 보였다.[31]
5. 졸업 후 진로 (Post-graduation employment)
졸업 후, 졸업생의 약 3분의 1은 판사 밑에서 재판연구원으로 일하며, 약 절반은 로펌에 합류한다.[32]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의 2014년 미국 변호사 협회(ABA)에서 요구하는 공식 발표에 따르면, 2014년 졸업생의 90.4%가 졸업 9개월 후 단독 개업자를 제외하고 정규직, 장기, 법학박사(J.D.)가 요구되는 직업을 얻었다.[33] 스탠퍼드 로스쿨 투명성의 실업률 점수는 3.2%로, 이는 졸업 9개월 후 실업 상태이거나, 추가 학위를 취득 중이거나, 비전문적, 단기 또는 파트타임 직업에 종사하는 2014년 졸업생의 비율을 나타낸다.[34]
미국 변호사 협회에 따르면, 2014년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졸업생 취업 현황은 다음과 같다.[35]
구분 | 비율 |
---|---|
변호사 시험 합격을 요구하는 직책 | 90.9% |
J.D. 소지자를 찾거나 J.D.가 직업을 얻거나 수행하는 데 명백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자체적으로 변호사 면허를 요구하지 않는 직책 | 2.7% |
기타 전문직 | 2.7% |
정규직 대학원 과정 | 1.1% |
취업 시작일 연기 | 1.1% |
실업 상태에서 취업 희망 | 1.6% |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2011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43개 로스쿨 중 법학 교수 임용률이 1인당 3위를 기록했다.[36] 201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연방 대법원 재판연구원 임용률은 1인당 2위였다.[37]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동문은 지난 40년 동안 매년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재판연구원으로 일해 왔다.[38]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평균을 기준으로,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연방 판사 재판연구원 임용률에서 1인당 2위를 기록했으며,[39] 2014년 졸업생의 경우 30.5%로 연방 판사 재판연구원 임용률이 가장 높았다.[40]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현재 미국 내 다른 어떤 로스쿨보다 졸업생의 연방 판사 재판연구원 비율이 가장 높다.[41]
6. 학비 및 재정 지원 (Costs)
2023-24학년도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의 총 학비(수업료, 수수료 및 생활비 포함)는 112364USD이다.[42]
M7 파이낸셜의 2015년 연구에서 평균 초봉, 고용 동향 및 학생 대출 의무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법학대학원의 "신용 등급"을 평가한 결과,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이 연구 대상 법학대학원 중 학생 부채 부담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43]
7. 연구 센터 및 프로그램 (Programs and centers)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다양한 연구 센터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센터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센터 및 프로그램 목록 |
---|
7. 1. 스탠퍼드 법률 정보학 센터 (The Stanford Center for Legal Informatics)
흔히 CodeX로 알려진 이 연구 센터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법률 기술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스탠퍼드 법학대학원과 스탠퍼드 대학교 공과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한다.8. 법률 저널 (Law Review and journals)
저널명 |
---|
스탠퍼드 로 리뷰(Stanford Law Review) |
스탠퍼드 국제법 저널(Stanford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
스탠퍼드 로 & 정책 리뷰(Stanford Law & Policy Review) |
스탠퍼드 법, 비즈니스 & 금융 저널(Stanford Journal of Law, Business & Finance) |
스탠퍼드 기술 법률 리뷰(Stanford Technology Law Review) |
스탠퍼드 환경 법률 저널(Stanford Environmental Law Journal) |
스탠퍼드 시민 권리 & 시민 자유 저널(Stanford Journal of Civil Rights & Civil Liberties) |
9. 저명한 교수진 (Notable faculty)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교수진은 학문적 영향력 면에서 미국 내 상위 3위 안에 들며,[46] 지적 재산권법의 마크 렘리, 법률사의 로렌스 프리드먼, 법률 윤리의 데보라 L. 로드 등 해당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법학자들이 포함되어 있다.[47]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스탠퍼드 법학 교수 5명이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법학자 50인에 포함되었으며,[48] 2013년 연구에서는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종신 재직 교수의 25%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49]
2013년 내셔널 로 저널은 제프리 L. 피셔 교수와 마크 렘리 교수를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변호사 100인에 선정했고,[50] 2014년 로이터 연구에서는 전 학장 캐슬린 M. 설리번, 제프리 L. 피셔 교수, 파멜라 S. 칼란 교수, 브라이언 울프먼 교수가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가장 성공적인 항소 변호사 66인에 포함되었다고 밝혔다.[51]
현직 및 전직 저명 교수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9. 1. 현직 저명 교수진
- 조셉 뱅크먼(Joseph Bankman) – 조세법
- 랄프 리처드 뱅크스(Ralph Richard Banks) – 가족법, 고용 차별법, 인종과 법
- 바바라 프리드(Barbara Fried) – 법 이론
- 로렌스 M. 프리드먼(Lawrence M. Friedman) – 법률 역사가
- 폴 골드스타인(Paul Goldstein) – 국제 지적 재산권, 저작권, 상표
- 조셉 그런드페스트(Joseph Grundfest) – 기업 지배 구조 및 증권 소송
- 토마스 헬러(Thomas Heller) – 국제 무역 및 조세 전문가
- 마크 켈만(Mark Kelman) - 법학대학원 부학장, 법에 대한 사회 과학의 적용
- 마이클 클라우즈너(Michael Klausner) – 회사법, 사업 거래, 기업 지배 구조, 금융 규제
- 마크 렘리(Mark Lemley) – 지적 재산권법, 특허법, 법과 기술
- A. 미첼 폴린스키(A. Mitchell Polinsky) – 법경제학
- 데보라 시바스(Deborah Sivas) – 환경법
- 제인 S. 섀크터(Jane S. Schacter) – 성적 지향 법, 법률 해석, 헌법
- 바턴 톰슨(Barton Thompson) – 천연 자원법
- 앨런 S. 와이너(Allen S. Weiner) – 국제법 학자
- 로버트 웨이스버그(Robert Weisberg) – 형법 및 법과 문학
- 비올라 카날레스 - 전 변호사, 단편 소설 작가, 출판 소설가
- 란히 첸 - 법률 강사, 전 밋 롬니의 수석 정책 고문
- 마리아노-플로렌티노 쿠에야르 - 객원 교수, 현 캘리포니아 대법원 판사
- 러스 페인골드 - 법률 강사, 전 미국 상원의원
- 버트람 필즈 - 법률 강사, 엔터테인먼트 변호사
- 벤자민 긴스버그 - 법률 강사, 전 부시-체니 대통령 선거 캠페인 변호사
- 제니퍼 그래닉 - 지적 재산권 및 수정 헌법 제1조 학자이자 실무자
- 토마스 B. 그리피스 - 법률 강사, 현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판사
- 굿윈 리우 - 법률 강사, 현 캘리포니아 대법원 부판사
9. 2. 전직 저명 교수진
- 미셸 알렉산더 - 법학 부교수, ''새로운 짐 크로우'' 저자
- 앤서니 G. 암스테르담 - 임상 교육 교수 (1969-1981)
- 바바라 앨런 밥콕 (명예교수) - 형사법, 민사 소송법, 여성 법률사
- 톰 캠벨 - 법학 교수 (1987-2002), 법학 부교수 (1983-1987)
- 바바라 A. 콜필드 - 법률 강사 (1988-2010)
- 마리아노-플로렌티노 쿠에야르 - 법학 교수 (2001-2015), 객원 교수 및 허먼 플레저 교수 (2015-2021), 현재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 회장; 행정법, 법률, 국제법, 행정 권력, 인공 지능
- 존 하트 엘리 - 법학 교수 (1982-1996); 전 학장 (1982-1987)
- 톰 골드스타인 - 임상 강사 (2004-2012); 스탠퍼드 대법원 소송 클리닉 공동 설립자
- 제럴드 건터 - 법학 교수 (1962-1995), 명예 교수 (1995-2002)
- 로렌스 레식 - 법학 교수 (2000-2009); 스탠퍼드 인터넷 및 사회 센터 설립자
- M. 엘리자베스 매길 - 전 법학대학원 학장; 헌법 및 행정법 학자
- 리아 마테라 - 연구 강사
- 리처드 포스너 - 법학 부교수 (1968-9)
- 마가렛 제인 라딘 - 법학 교수 (1989-2006)
- 데보라 L. 로드 - 법률 윤리, 젠더와 법; 전 미국 법학대학 협회 회장
- 조셉 타이어 스니드 3세 - 법학 교수 (1962-1971)
- 캐슬린 M. 설리번 - 법학 교수 (1992-2012); 전 학장 (1999-2004)
- 루크 W. 콜 - 환경법 교수
10. 저명한 동문 (Notable alumni)
이름 | 직함 | 비고 |
---|---|---|
워런 크리스토퍼 | 미국 국무장관 | 1993-1997 |
윌리엄 렌퀴스트 | 미국 연방 대법원장 | 1986-2005 |
샌드라 데이 오코너 |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 1981-2006 |
페니 프리츠커 | 미국 상무장관 | 2013- |
셜리 허프스테들러 | 미국 초대 미국 교육부 장관 | 1979-1981 |
존 루스 | 주일본 미국대사 | 2009-2013 |
맥스 보커스 | 주중국 미국대사 | 2014- |
피터 틸 | 페이팔 공동 설립자 | |
캐서린 웨이머스 | 《워싱턴 포스트》 발행인 | 2008- |
로버트 코크런 | 미국 드라마 《24》 공동제작자 | |
데이비드 F. 레비 | 듀크대학교 법학대학원 학장 | 2007- |
홍정욱 | 헤럴드 회장 | |
김미형 | 금호아시아나그룹 부사장 | 1992- |
유일한 | 유한양행 설립자/사장 | 1926-1969 |
스탠퍼드 로스쿨 동문들은 61개국, 미국 50개 주,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괌, 마셜 제도, 워싱턴 D.C.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국 100대 로펌 중 87곳의 파트너이며, 94곳의 대형 로펌에서 변호사로 근무하고 있다.[53] 스탠퍼드의 법률 및 기술 전문성에 걸맞게,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구글(Google), 시스코(Cisco), 이베이(eBay), 야후!(Yahoo!), 퀄컴(Qualcomm), 오라클(Oracle), 제넨텍(Genentech)을 포함한 많은 주요 하이테크 기업의 법률 고문으로 근무하거나 이전에 근무한 경력이 있다.[53]
이 로스쿨의 동문에는 대법원의 대법원장 또는 대법관 직을 처음으로 역임한 여성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전 뉴질랜드 대법원장 시안 엘리아스, 은퇴한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샌드라 데이 오코너, 고 워싱턴주 대법원장 바바라 더럼 등이 있다. 스탠퍼드 로스쿨을 졸업한 다른 대법원 판사로는 고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원장 윌리엄 렌퀴스트, 은퇴한 캘리포니아 대법원장 로널드 M. 조지, 은퇴한 캘리포니아 대법원 대법관 카를로스 R. 모레노, 고 캘리포니아 대법원 대법관 프랭크 K. 리처드슨 등이 있다.
11. 대중 문화 속 스탠퍼드 로스쿨 (Popular culture)
미국 코미디 영화 《금발이 너무해》는 하버드 로스쿨을 배경으로 하지만, 스탠퍼드 로스쿨 졸업생인 어맨다 브라운이 자신의 로스쿨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영화는 원래 스탠퍼드 로스쿨을 배경으로 했으며, 이는 원작 소설의 배경이기도 하다. 하지만 스탠퍼드 측에서 시나리오를 승인하지 않아, 배경이 하버드 로스쿨로 변경되었다.[54]
참조
[1]
잡지
Stanford University
https://www.usnews.c[...]
2020-05-20
[2]
웹사이트
Stanford releases annual financial results for investment return, endowment
https://news.stanfor[...]
2021-10-26
[3]
웹사이트
Stanford University Law School
https://www.lsac.org[...]
Law School Admission Council, Inc.
2023-03-19
[4]
웹사이트
2023-2024 Best Law Schools
https://www.usnews.c[...]
2024-04-10
[5]
웹사이트
2021 Standard 509 Information Report (2021 First Year Class)
https://law.stanford[...]
Stanford Law School
2022-10-16
[6]
웹사이트
Clinics Offered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7]
웹사이트
Supreme Court Litigation Clinic
http://www.law.stanf[...]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8]
웹사이트
Overview of Joint Degree and Cooperative Programs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9]
웹사이트
History of Stanford Law School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3-13
[10]
웹사이트
AALS Member Schools
http://www.aals.org/[...]
The Association of American Law Schools
2015-06-27
[11]
웹사이트
ABA-Approved Law Schools by Year
http://www.americanb[...]
2011-04-20
[12]
웹사이트
Stanford University - School of Law
http://www.princeton[...]
The Princeton Review
2015-06-27
[13]
신문
Quarter System Integrates Law School
http://www.stanfordd[...]
The Stanford Daily
2010-02-22
[14]
웹사이트
A '3D' JD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06-11-28
[15]
웹사이트
JD Program | Stanford Law School
http://www.law.stanf[...]
Law.stanford.edu
2013-08-12
[16]
웹사이트
ABA-Required Disclosures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17]
웹사이트
Supreme Court Litigation Clinic | Stanford Law School
http://www.law.stanf[...]
Law.stanford.edu
2013-08-12
[18]
뉴스
Stanford Law Students Get Early Supreme Court Duty
https://www.nytimes.[...]
2006-03-15
[19]
웹사이트
Selected Cases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20]
웹사이트
Law and Policy Lab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21]
웹사이트
Law and Policy Lab: Tackling Timely Policy Challenges
http://stanfordlawye[...]
Stanford Lawyer
2014-05-28
[22]
웹사이트
Stanford Law School
http://abovethelaw.c[...]
Above the Law
2015-06-27
[23]
서적
The Best 168 Law Schools, 2013 Edition
Princeton Review
2012
[24]
웹사이트
Law School Rankings by BigLaw Associates' Satisfaction With Their Legal Education
http://taxprof.typep[...]
2014-08-28
[25]
웹사이트
Student Organizations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3
[26]
웹사이트
Student Journals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3
[27]
웹사이트
Law Journals: Submissions and Ranking, 2007 - 2014
http://lawlib.wlu.ed[...]
[28]
웹사이트
Stanford Law Drops Letter-Grade System
http://www.law.com/j[...]
Law.com
2013-08-12
[29]
웹사이트
Stanford Law School Grade Reform -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 Stanford Law School
http://www.law.stanf[...]
Law.stanford.edu
2013-08-12
[30]
웹사이트
ABA-Required Disclosures
https://law.stanford[...]
2023-04-22
[31]
웹사이트
STANFORD UNIVERSITY
https://law.stanford[...]
2023-04-14
[32]
웹사이트
Employment by Type | Stanford Law School
http://www.law.stanf[...]
Law.stanford.edu
2013-08-12
[33]
웹사이트
Employment Outcomes
https://www.law.stan[...]
Stanford Law School
2015-06-27
[34]
웹사이트
Stanford University Profile
http://www.lstscorer[...]
Law School Transparency
2015-06-27
[35]
웹사이트
http://employmentsum[...]
American Bar Association, Section of Legal Education And Admissions to the Bar, Florida Coastal School of Law
2015-06-24
[36]
웹사이트
Top Producers of Law Teachers at the Leading Law Schools Since 1995
http://leiterranking[...]
2015-06-24
[37]
웹사이트
Brian Leiter Supreme Court Clerkship Placement, 2000 Through 2013 Terms
http://www.leiterran[...]
2015-06-24
[38]
웹사이트
Employment Outcomes | Clerkships
https://www.law.stan[...]
2015-06-27
[39]
블로그
Visualizing Law School Federal Judicial Clerkship Placement, 2012-2014
http://excessofdemoc[...]
2015-06-24
[40]
웹사이트
LST | National Reports
http://www.lstscorer[...]
2015-06-27
[41]
뉴스
These law schools sent the most grads to federal clerkships
https://www.reuters.[...]
2023-05-05
[42]
웹사이트
Cost of Attendance
https://law.stanford[...]
[43]
웹사이트
Credit Ratings for Law Schools
http://info.m7financ[...]
2015-06-27
[44]
웹사이트
Stanford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w and Policy Project (SIDDLAPP)
https://law.stanford[...]
[45]
웹사이트
Codex: The Stanford for Legal Informatics
https://law.stanford[...]
[46]
웹사이트
Top Ten Faculty (by Area) in Scholarly Impact, 2009-2013
http://www.leiterran[...]
2015-06-23
[47]
웹사이트
Most Cited Law Professors by Specialty, 2000-2007
http://www.leiterran[...]
2015-06-27
[48]
논문
The Cite Stuff: Inventing a Better Law Faculty Relevance Measure
UC Berkeley Public Law Research Paper No. 2140944
2012-09-03
[49]
웹사이트
Faculty Quality Based On Membership In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2013
http://www.leiterran[...]
2015-06-23
[50]
뉴스
The 100 Most Influential Lawyers in America
http://www.nationall[...]
2015-06-23
[51]
뉴스
The Echo Chamber
https://www.reuters.[...]
2014-12-08
[52]
웹사이트
Stanford Law Prof Is One of Esquire's Best-Dressed Real Men (See Photo Gallery)
https://www.abajourn[...]
2021-12-28
[53]
웹사이트
Graduate Facts | Stanford Law School
https://www.law.stan[...]
2015-06-24
[54]
웹사이트
Fictional Stanford
http://www.stanforda[...]
[55]
웹사이트
http://grad-schools.[...]
[56]
문서
https://www.law.stan[...]
[57]
웹사이트
Stanford Law Advanced degrees
https://www.law.stan[...]
[58]
웹인용
US News Intellectual Property
http://grad-schools.[...]
2014-05-12
[59]
웹인용
Stanford University Law School Data
https://www.usnews.c[...]
[60]
웹사이트
Ranking of Top Law Schools 1987 - 2009 By US News & World Report
http://www.law.stanf[...]
[61]
웹사이트
US News 2014 Reputation
http://leiterlawscho[...]
[62]
웹인용
Grading System SLS
https://www.law.stan[...]
2014-05-20
[63]
웹사이트
Stanford Law Advanced degrees
https://www.law.s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